노다지

김유정
출판사 네모이북
출간일 2012년 07월 25일
2점 4점 6점 8점 10점  (0건)
작품설명

「노다지」는 하룻밤 동안이라는 시간적 제약 속에서 모든 인간에게 잠재해 있는 황금에 대한 욕심과 인간의 변화 가능성을 연관지어 남들의 눈을 피해 금을 캐러 다니는 잠채꾼의 행위와 심리를 추적하여 인간 심리의 갈등 구조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작품이다.
이 소설에서는 육체적으로 약하고 소심하지만 금전에 밝은 꽁보라는 인물과 건강하고 좋은 체격이지만 금전관계에서는 비전문가인 덕팔이라는 대조적인 인물이 등장한다. 이 인물들이 일상적인 관계에서는 상호보완적인 위치이지만 노다지 앞에서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김유정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금광은 인간 욕망의 최대치로서 황금이라는 물질적 욕망 그 자체와 관련된다. 그리고 이들 작품은 산골 마을의 특수성과 관련되어 전원적 자연환경과 인간의 탐욕으로 자연에서 물질적 욕망을 얻으려는 금광이라는 인위적 배경이 대비되어 묘사된다. 즉, 「노다지」·「금따는 콩밭」·「금」은 궁핍한 현실로부터 물질적 풍요를 획득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탈출구인 금광과 관련하여 농촌 현실의 탈출 가능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작가소개
저자 : 김유정
갑부의 집안이었으나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고향을 떠나 12세 때 서울 재동공립보통학교에 입학, 1929년에 휘문고등보통학교를 마치고 이듬해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진학했으나 중퇴하였다.
1932년에는 고향 실레마을에 금병의숙(錦屛義塾)을 세워 문맹퇴치운동을 벌이기도 하고, 또 한때는 금광에 손을 대기도 하였다.
1935년 단편소설 <소낙비>가 ≪조선일보≫에, <노다지>가 ≪중앙일보≫의 신춘문예에 각각 당선되어 문단에 올랐다. 그뒤 후기 구인회(九人會)의 일원으로 김문집(金文輯)·이상(李箱) 등과 교분을 가지면서 창작활동을 하였다.
그는 등단하던 해에 <금 따는 콩밭>·<떡>·<산골>·<만무방>·<봄봄> 등을 발표하였고, 그 이듬해인 1936년에 <산골 나그네>·<봄과 따라지>·<동백꽃> 등을 발표하였으며, 1937년에는 <땡볕>·<따라지> 등을 발표하였다.
그는 불과 2년 남짓한 작가생활을 통해서 30편 내외의 단편과 1편의 미완성 장편, 그리고 1편의 번역소설을 남길 만큼 왕성한 창작의욕을 보였으나, 30세에 죽었다.
김유정의 소설은 그의 체험적 소재에 따라 크게 세 갈래로 나눌 수 있다. 그 하나는 고향 실레마을 사람들의 가난하고 무지하며 순박한 생활을 그린 <봄봄>·<동백꽃> 등의 계열로서 그의 작가적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난 일면이다.
다음은 그의 금광 체험에서 얻어진 것으로, 민족항일기의 가난 속에서 일확천금의 꿈에 한가닥 희망을 걸고 사는 사람들의 생태를 그린 <노다지>·<금 따는 콩밭> 등의 계열, 그리고 도시에서의 가난한 한 작가인 자신의 생활을 투영시킨 <따라지>·<봄과 따라지> 등의 계열이 그것이다.
그의 문학세계는 본질적으로 희화적(戱畫的)이어서, 냉철하고 이지적인 현실감각이나 비극적인 진지성보다는 따뜻하고 희극적인 인간미가 넘쳐 흐르는 게 특징이다.
등장인물들의 우직하고 순진한 모습, 사건의 의외적인 전개와 엉뚱한 반전, 매우 육담적(肉談的)인 속어의 구사 등으로 독특한 개성을 보여주었다. 어리숭한 사람들을 해학적으로 다룬 것은 그의 애상적인 성격에 대한 반동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대표작 <동백꽃>은 사춘기 남녀가 애정과 개성에 눈떠가는 과정을 전원 서정 속에 특유의 해학적 수법으로 표현한 것이다. 작품집으로는 1938년에 나온 ≪동백꽃≫이 있고, 1968년에 ≪김유정전집≫이 출간되었다.

더보기
작품설명

「노다지」는 하룻밤 동안이라는 시간적 제약 속에서 모든 인간에게 잠재해 있는 황금에 대한 욕심과 인간의 변화 가능성을 연관지어 남들의 눈을 피해 금을 캐러 다니는 잠채꾼의 행위와 심리를 추적하여 인간 심리의 갈등 구조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작품이다.
이 소설에서는 육체적으로 약하고 소심하지만 금전에 밝은 꽁보라는 인물과 건강하고 좋은 체격이지만 금전관계에서는 비전문가인 덕팔이라는 대조적인 인물이 등장한다. 이 인물들이 일상적인 관계에서는 상호보완적인 위치이지만 노다지 앞에서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김유정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금광은 인간 욕망의 최대치로서 황금이라는 물질적 욕망 그 자체와 관련된다. 그리고 이들 작품은 산골 마을의 특수성과 관련되어 전원적 자연환경과 인간의 탐욕으로 자연에서 물질적 욕망을 얻으려는 금광이라는 인위적 배경이 대비되어 묘사된다. 즉, 「노다지」·「금따는 콩밭」·「금」은 궁핍한 현실로부터 물질적 풍요를 획득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탈출구인 금광과 관련하여 농촌 현실의 탈출 가능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작가소개
저자 : 김유정
갑부의 집안이었으나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고향을 떠나 12세 때 서울 재동공립보통학교에 입학, 1929년에 휘문고등보통학교를 마치고 이듬해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진학했으나 중퇴하였다.
1932년에는 고향 실레마을에 금병의숙(錦屛義塾)을 세워 문맹퇴치운동을 벌이기도 하고, 또 한때는 금광에 손을 대기도 하였다.
1935년 단편소설 <소낙비>가 ≪조선일보≫에, <노다지>가 ≪중앙일보≫의 신춘문예에 각각 당선되어 문단에 올랐다. 그뒤 후기 구인회(九人會)의 일원으로 김문집(金文輯)·이상(李箱) 등과 교분을 가지면서 창작활동을 하였다.
그는 등단하던 해에 <금 따는 콩밭>·<떡>·<산골>·<만무방>·<봄봄> 등을 발표하였고, 그 이듬해인 1936년에 <산골 나그네>·<봄과 따라지>·<동백꽃> 등을 발표하였으며, 1937년에는 <땡볕>·<따라지> 등을 발표하였다.
그는 불과 2년 남짓한 작가생활을 통해서 30편 내외의 단편과 1편의 미완성 장편, 그리고 1편의 번역소설을 남길 만큼 왕성한 창작의욕을 보였으나, 30세에 죽었다.
김유정의 소설은 그의 체험적 소재에 따라 크게 세 갈래로 나눌 수 있다. 그 하나는 고향 실레마을 사람들의 가난하고 무지하며 순박한 생활을 그린 <봄봄>·<동백꽃> 등의 계열로서 그의 작가적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난 일면이다.
다음은 그의 금광 체험에서 얻어진 것으로, 민족항일기의 가난 속에서 일확천금의 꿈에 한가닥 희망을 걸고 사는 사람들의 생태를 그린 <노다지>·<금 따는 콩밭> 등의 계열, 그리고 도시에서의 가난한 한 작가인 자신의 생활을 투영시킨 <따라지>·<봄과 따라지> 등의 계열이 그것이다.
그의 문학세계는 본질적으로 희화적(戱畫的)이어서, 냉철하고 이지적인 현실감각이나 비극적인 진지성보다는 따뜻하고 희극적인 인간미가 넘쳐 흐르는 게 특징이다.
등장인물들의 우직하고 순진한 모습, 사건의 의외적인 전개와 엉뚱한 반전, 매우 육담적(肉談的)인 속어의 구사 등으로 독특한 개성을 보여주었다. 어리숭한 사람들을 해학적으로 다룬 것은 그의 애상적인 성격에 대한 반동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대표작 <동백꽃>은 사춘기 남녀가 애정과 개성에 눈떠가는 과정을 전원 서정 속에 특유의 해학적 수법으로 표현한 것이다. 작품집으로는 1938년에 나온 ≪동백꽃≫이 있고, 1968년에 ≪김유정전집≫이 출간되었다.

더보기

캐시로 구매 시 보너스 1% 적립!

전체선택

노다지

무료
총 0권 선택

총 금액 0원  

최종 결제 금액  0원 적립보너스 0P

리뷰(0) 아직 리뷰가 없습니다